조선의 반정-2

조선시대에 성공한 쿠데타는 무인정사(1차 왕자의 난:1398), 수양대군의 계유정난 (1453), 중종반정(1506), 인조반정(1623), 이렇게 총 4번인데, 뒤의 두 개만 반정이라 부른다. 반면에 무인정사와 계유정난은, 오히려 정적들이 역모를 꾀하고 있고, 사세가 급박하여 왕의 재가를 받을 틈이 없이 적들을 죽였다는 것이 명분이므로, 반정이 아닌 "정사", "정난" 등의 이름으로 부른다.

[1] "정사""사직을 안정시켰다", "정난""난국을 수습하였다"는 뜻이다.

무인정사는 정도전 일파가 대군들을 살해할 음모를 꾸미고 있어 진압했다는 것이 명분이었고, 계유정난은 김종서 일파와 안평대군의 역모를 진압했다는 것이 명분이었다.

[2] 태조 이성계의 경우는 태종 이방원의 아버지이므로 축출 이상의 위해는 가하지 못했지만, 단종의 경우에는 사육신의 복위 운동에 연루되어 상왕에서 폐위된 후 유배지에서 죽음을 당하였다.

, 반정 때 "폭군"이라고 단죄받은 연산군이나 광해군과 달리, 단종은 계유정난 때가 아니라 그 뒤인 세조 치세에 "역적"으로 단죄 받았다는 것이 계유정난과 이후 반정과의 차이점이다.

[3] 그래도 정종은 살아있는 동안에도 동생인 태종이 태상왕으로서의 대우를 해줬고, 묘호는 없었지만 그가 잠시 왕으로 있던 2년 정도의 시기의 기록을 일기가 아닌 실록으로 호칭했다. 일단 무인정사의 명분대로 왕위에 오르기도 했고 후세에 축출된 왕들처럼 강제적으로 폐위되어 격하되지 않고 스스로 태종에게 왕위를 승계하고 물러났다.

[4] 중종반정과 인조반정은 대놓고 왕의 폐위를 명분으로 내걸었기 때문이다. 중종반정에서는 연산군, 인조반정에서는 광해군이 축출되었다. 1506(연산군12) 이조참판(吏曹參判)을 지낸 성희안(成希顔)과 중추부지사(中樞府知事) 박원종(朴元宗)이 재위 12년간 폭정으로 국가의 기틀을 흔들어 놓은 조선 제10대 왕 연산군을 몰아내고 이복동생인 진성대군(晉城大君:중종)을 왕으로 추대한 사건이다.

[5] 인조반정은 1623411(음력 312)에 이서(李曙이귀(李貴김유(金瑬) 등 서인(西人) 세력이 정변을 일으켜 광해군을 왕위에서 몰아내고 능양군(綾陽君) 이종(李倧)(인조)을 왕으로 옹립한 사건이다.

 

저작권자 © 경남연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