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박사 조문주

초등교육 코칭연구소장
시인

교육학 박사 조문주
교육학 박사 조문주

포엠테라피 20주 과정을 진행중이다. 시낭송을 익히면서 다양한 상담기법들을 활용하고 푸드아트까지 겸하며 매주 수요일 저녁에 실시한다. 이번 주의 주제는 ‘상처받은 내면아이 만나기’이다.
“나는 동생이라 늘 언니 옷을 물러 받아 입었어요. 말은 못 해도 참 슬펐어요.”
누가 봐도 유복한 생활로 불평불만이 없을 듯한 분이 드러낸 내면아이의 모습이다.
누구나 가슴 속에 ‘상처받은 내면아이’라는 게 있다. 어릴 적에 자신이 부모나 다른 누군가에 의해 상처를 받았는데 그 감정을 그때 해소하지 못해 평생 아파하며 산다는 거다. 그 아이의 마음을 인정하지 못하고 감춰두는 것이다. 괜찮은 척하며 무시하고 살다보면 나도 모르게 그 아이에 얽매여 사는 내가 있게 되는 거다.
내 안에 어떤 상처받은 아이가 있는지 털어놓기로 한다.  

“그게 무슨 상처가 되나요? 나는 물러 받을 옷이라도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앞 분의 이야기에 자기의 상처가 더 크다며 그것 가지고 상처가 되냐고 반문한다.
이렇게 되면 내면아이 달래기는 문을 닫아야한다. ‘상처받은 내면아이’의 상처수준은 객관성이 없는 지극히 주관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참 잘 해준 어머니께 미안해서 말하지 못한 어릴 적 상처를 어떻게 비교해서 말 할 수 있겠는가? 이를 조심히 다루어주지 않으면 오히려 더 공감 받지 못하고 또 다른 상처가 될 수도 있다. 
“나는 그런 동생에게 늘 미안해하며 살았어요. 그 말을 들으니 눈물이 나네요.”
각자의 내면에 웅크리고 있는 아이의 모습을 떠 올리며 이야기를 나누었다.
공감의 마음을 전하는 과정에서 잊고 있었던 내면 아이를 소중하게 만날 수 있었다.
언니의 입장과 동생의 입장을 이해하면서 내면아이 다독이는 과정을 이어갔다.
가만히 눈을 감는다. 성인이 되어도 외면하고 지냈던 ‘상처받은 내면아이’에게 위로의 말을 건넨다.
“많이 힘들었지? 네 잘못이 아니야. 애썼다....”
각자의 느낌대로 위로를 하면서 울기도 한다.
오래 전에 이 과정을 익히면서 나도 많이 울었다.
주 양육자의 애착을 받지 못하고 자란 아이를 애써 무시하며 살아 온 것이다.
어릴 적 이야기를 수치로 여겨 과거를 들추어내고 싶지 않았고 누군가 나의 과거를 알까 싶어 두려웠다. 이 과정 속에서 내 속의 아이를 매주 한명씩 챙기며 인정해주고 위로를 해주면서 한결 가벼워지고 있음을 경험하게 되었다.
내 안의 그 아이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그 아이 덕분에 성장한 내가 있는 것이다. 부끄러워하며 감추려하기보다 인정하며 받아들이는 것이다. 맞다 틀리다로 따지지 말고 소중한 경험들을 인정하는 것이다.
내 안에 네가 있음을 인정하는 것이다. 장시하님의 ‘돌아보니 모두가 사랑이더라.’ 시를 되새기며 두 시간 강의를 접는다.

저작권자 © 경남연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