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을 2020년으로 넘긴 지 얼마 안된 시점이었던 1월 13일, 이낙연 국무총리가 물러났다. 이 전 총리는 2017년 5월 31일 국무총리 임명 동의안이 통과된 뒤 958일 동안 재임했다. 차기 대선주자로 이 전 총리가 가장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고 있다는 말이 생겼다.
여론조사 기관 리얼미터는 오마이뉴스 의뢰를 받아 달마다 차기 대선주자 지지율을 발표했다. 평균적으로 2500여 명 표본을 대상으로 한 이 조사의 신뢰도는 95%, 표본오차는 ±1.9%포인트 였다. 2019년 12월 31일 리얼미터가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 전 총리 지지율은 29.4%였다. 이 전 총리 대항마는 황교안 미래통합당 전 대표였다. 이 조사에서 황 전 대표는 20.1% 지지율을 기록하며 이 전 총리를 추격했다.
2020년 1분기 이 전 총리 지지율은 ‘이낙연 대세론’이란 신조어를 뒷받침할 만큼 안정적이었다. 1월부터 3월까지 이 전 총리 지지율은 각각 29.9%, 30.1%, 29.7%였다. 30%선을 기준으로 위아래로 소폭 상승·하락을 반복했다. 4월 15일 총선을 앞두고 이 전 총리 역할론이 부각되면서 지지율은 굳건한 모양새를 띠었다. 대항마였던 황교안 대표는 20%선을 기준으로 지지율이 오르락내리락했다.
그 가운데 2월부터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지지율 상승이 돋보였다. 2019년 12월 8.8% 지지를 받던 이 지사는 1월 5.6% 지지율을 기록하며 다소 실망스런 성적표를 받았다. 하지만 코로나19 확진자가 국내에서 발생하기 시작한 2월부터 ‘강경한 방역 카드’를 잇따라 꺼낸 이 지사의 지지율이 의미 있는 움직임을 보였다. 2월 이 지사 지지율은 13.0%로 껑충 뛰어 올랐고, 3월엔 13.6% 지지를 받으며 자신의 지지율이 ‘반짝 상승세’가 아님을 증명했다.
2020년 4월 이낙연 대세론은 정점을 찍었다. 이낙연 전 총리는 더불어민주당 선대위원장 직을 맡아 4·15 총선을 진두지휘했다. 이 전 총리는 ‘정치 1번지’ 서울 종로 지역구 출마를 선언했다. 지역구 선거 맞대결 상대는 황교안 미래통합당 전 대표였다. 이 전 총리는 선거에서 황 전 대표를 제압하며 정치 1번지에 깃발을 꽂았고 의원 직함을 다시 달았다. 이 의원은 선대위원장으로 더불어민주당을 이끌며 180석 공룡여당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4월 28일 리얼미터가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 의원 지지율은 40.2%였다. 총선 승리 이후 차기 대선주자 지지율 야권 대항마였던 황 전 대표 이름은 형편없이 추락하였다.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14.4% 지지율로 상승세를 이어갔다. 그러나 총선 승리 이후 두 달 동안 이낙연 의원 지지율은 차츰 하락하기 시작했다. 5월 이 의원 지지율은 34.3%로 4월 대비 5.9% 하락했다. 6월 지지율은 30.8%였다. 총선 이후 2달 만에 지지율이 총선 전 수준으로 원위치한 셈이다.
그러는 사이 이재명 지사는 차츰 여권 내 ‘양강구도’를 만들기 시작했다. 5월 14.2%, 6월 15.6% 지지율을 기록한 이 지사는 이낙연 의원과 격차를 차츰 좁혀나갔다. 이 지사는 재난지원금과 기본소득 등에 대한 의견을 활발히 개진하는 이슈 선점을 통해 존재감을 부각시켰다.
7월부터 9월까지 정치권은 여러 대형 이슈로 들썩였다. 7월 9일엔 또 다른 잠룡군으로 꼽히던 박원순 서울시장이 극단적인 선택을 했다. 2021년 재보궐선거에서 서울시장과 부산시장 선거를 함께 치르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지면서 정치권의 계산은 복잡해지기 시작했다.
박 시장이 극단적인 선택을 한 지 일주일 뒤엔 이재명 경기도지사를 둘러싼 허위사실공표 혐의에 대한 대법원 판결이 나왔다. 당선무효형 기로에 서 있던 이 지사는 살아났다. 2심 당선무효형이 유지될 경우 차기 대선 출마가 물거품이 되는 상황이었다. 7월 16일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이 지사 관련 건 원심을 파기하고 무죄취지로 파기 환송했다. 이 지사는 대권 도전에 있어 가장 큰 걸림돌의 8부능선을 넘게 되었다.
이낙연 의원은 당권을 거머쥐었다. 8월 29일 이 의원은 60%가 넘는 득표율을 기록하며 경쟁자였던 김부겸 전 의원을 꺾었다. ‘이낙연 대세론’은 물 흐르듯 단계를 밟았다. 그러나 지지율은 하락 추세로 접어들었다. 줄곧 30% 지지율을 유지하던 이 대표는 7월 25.6%의 지지를 얻는 데 그쳤다. 당권을 거머쥔 8월 지지율은 24.6%였고, 당대표 취임 첫 여론조사였던 9월 지지율은 22.5%였다. 총선 이후 절반에 가까운 지지층이 이탈한 셈이었다.
민주당 내부 관계자는 “이 대표가 대표 취임 이후 발목이 잡힌 격이 됐다”면서 “당 대표로서 정부·여당의 정책적 결정 책임에 대한 부담감이 생긴 까닭”이라고 했다. 이 관계자는 “당 대표 타이틀을 달고 있는 상황에서 정치적 자유도는 하락하고 ‘대세론’ 훈풍은 멎어가고 있다”면서 “‘7개월 당대표’를 맡은 것이 독이 되고 있다는 내부 여론도 형성되는 상황”이라고 귀띔했다.
이낙연 대표가 주춤했던 반면,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대법원 판결 후 본격적인 양강구도를 확립했다. 이 지사는 7월부터 9월까지 19.6%-23.3%-21.4% 지지율을 기록했다. 9월 이 지사 지지율은 이 대표 지지율을 오차 범위 내로 맹추격했다.
“이낙연 민주당 대표의 경우 ‘대세론’이 지나치게 빨리 찾아온 까닭에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당 대표가 된 뒤엔 리더십 방향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는 평이 들린다. 이재명 지사 경우엔 ‘사이다’ 이미지로 지지세를 확립했는데, ‘사이다’ 이미지 말고 다른 뚜렷한 장점을 부각할 필요성이 있다. 2021년에 접어들면 이 대표와 이 지사가 자신의 단점을 치열하게 보완하며 더 열띤 지지율 경쟁이 펼쳐질 것이라고 본다.” 이러한 양강구도 가운데 정세균국무총리가 끼어들 공산이 크다고 하며 그동안 주목을 받았던 김경수 경남지사는 대선포기선언을 하므로써 집권여당으로서는 3강구도로 갈 공산이 큰 반면 야당에서는 누구하나 뚜렷하게 부각되는 인물없이 김종인이라는 국민의힘당의 어정쩡한 행보가 보수우파 국민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저작권자 © 경남연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