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설위원 정찬기오  교육학 박사/경상대학교 명예교수
논설위원 정찬기오
교육학 박사/경상대학교 명예교수

 

  우리는 생활 장면에서 접하는 운(運)의 개념과 선천적으로 타고난다는 명(命)의 개념을 합성한 운명(運命) 또는 명운(命運)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이는 명리학에서 말하는 명운 또는 운명의 개념을 음(陰)과 양(陽), 그리고 오행(五行)의 기(氣)로 설명되고 있다.
  명리학에 의하면, 모든 인간사(人間事)는 자연계의 상대성과 그 상대적인 방향성 등을 우주에 공존하는 5가지의 기(氣)라고 할 수 있는 ‘5행(五行)의 도식(圖式)’과, ‘10 천간(天干)’, 그리고 ‘12 지지(地支)’의 분화와 순환 과정 등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한다.
  명리학에서 자연계의 음양 구분은 밤과 낮, 불과 물, 겨울과 여름, 하늘과 땅, 공간과 시간, 습함과 건조함 등으로 상대적 구분을 하고, 방향성의 상대적 구분은 전/후, 상/하, 좌/우, 고/저, 입/출, 진/퇴, 왕/내, 상승/하강 등으로 음과 양의 구분을 하며, 사람에 대한 음양의 구분은 남/여, 노/소, 오장/육부, 정신/육체, 들숨/날숨, 기쁨/슬픔 등으로 구분한다.
  우주 만상이 다섯 가지 모습으로 변화(變化)하면서 순환(循環)한다는 오행(목→화→토→금→수)의 설명을 요약해 보면, 목(木)의 기운은 하루의 시간대로 보면 아침에 해당하고, 계절(季節) 운동의 개념으로 보면 식물이 땅을 가르고 솟아오르는 봄의 기운(小陽)으로 설명한다. 또한 생애 주기 중의 소년기에 해당한다고 본다. 이러한 목의 기운을 생활 장면 물상(物象)으로 확장하면 기획·계획 분야, 개업·창업 분야, 창작 분야, 교육·훈련 분야 등에 적합하다고 한다. 우주공간에서 받는 영감(天干)은 갑(甲)과 을(乙)에 해당하고, 땅(지면)에서 받는 기운(地支)은 인(寅)과 묘(卯)에 해당한다고 본다. 즉 甲(木), 乙(木) & 寅(木), 卯(木)의 논리이다.
  화(火)의 기운은 하루의 시간대로 보면 한낮에 해당하고, 계절 운동의 개념으로 보면 봄의 기운을 왕성하게 펼쳐나가는 여름의 기운(太陽)으로 설명한다. 또한 생애 주기 중의 청년기에 해당한다고 본다. 이러한 화의 기운을 생활 장면(물상)으로 확장하면 전기·전자·방송·통신 분야, 문화·예절 분야, 화학·공학 분야, 가스 분야 등에 적합하다고 한다. 우주에서 받는 영감은 병(丙)과 정(丁)에 해당하고, 땅(지면)에서 받는 기운은 사(巳)와 오(午)에 해당한다고 본다.
  토(土)의 기운은 하루 중 낮과 밤의 중재, ‘여름 운동에서 가을 운동으로’의 조정 또는 조절에 해당한다고 본다. 이러한 토의 기운을 생활 장면(물상)으로 확장하면 알선·중재 분야, 부동산 분야, 경리·계산 분야, 숙박 분야, 농·축산 분야, 공예·건축 분야 등에 적합하다고 한다. 우주에서 받는 영감은 무(戊)와 기(己)에 해당하고, 지면(땅)에서 받는 기운은 진·술(辰·戌)과 축·미(丑·未)에 해당한다고 본다. 즉 戊(土), 己(土) & 辰(土), 戌(土), 丑(土), 未(土)의 논리이다.
  금(金)의 기운은 하루의 시간대로 보면 저녁에 해당하고, 계절 운동의 개념으로 보면 열매가 열리면서 겨울을 준비하는 가을 현상으로 설명한다. 또한 생애 주기 중의 장년기에 해당한다고 본다. 이러한 금의 기운을 생활 장면(물상)으로 확장하면 기계·정비 분야, 시설·경비 분야, 총포 분야, 증권 분야, 귀금속·장신구 분야 등에 적합하다고 한다. 우주에서 받는 영감은 경(庚)과 신(辛)에 해당하고, 땅(지면)에서 받는 기운은 신(申)과 유(酉)에 해당한다고 본다.
  수(水)의 기운은 하루의 시간대로 보면 깊은 밤에 해당하고, 계절 운동의 개념으로 보면 겨울 현상과 봄을 준비하는 현상으로 설명한다. 또한 생애 주기 중의 노년기에 해당한다고 본다. 이러한 수의 기운을 생활 장면(물상)으로 확장하면 냉동업 분야, 목욕업 분야, 창고업 분야, 비밀 취급 분야, 지속 연구 분야 등에 적합하다고 한다. 우주에서 받는 영감은 임(壬)과 계(癸)에 해당하고, 땅(지면)에서 받는 기운은 해(亥)와 자(子)에 해당한다고 본다.

저작권자 © 경남연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