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자윤 한의원
대표원장 양 준모

대표원장 양 준모
대표원장 양 준모

 

젊은 여성의 헛구역질 모습은 드라마에서 임신의 흔한 클리셰(cliche)로 쓰인다. 이를 입덧 또는 임신오조(妊娠惡阻)라고 하는데 한의학에서는 충맥(衝脈)의 기(氣)가 상역(上逆)하고 위기(胃氣)의 하강이 실조(失調)하여 발생한다고 한다. 임신초기에 월경이 멈추면서 충임(衝妊)의 기혈(氣血)이 외설(外泄)하지 못하고 아래에 모여 태원(胎元)을 양육(養育)하므로 충기(衝氣)의 편성(偏盛)이 경맥을 따라 상역하여 위에 침범한다는 것이다. 특히 비위가 약하고, 간위(肝胃)가 불화(不和)하면 입덧이 심해지게 된다. 입덧의 원인이 생화학적으로는 불분명하지만, 융모성성선자극호르몬(HCG: human chorionic gonadotropin)과 에스트로겐(estrogen)의 상승 현상과 관련이 깊다고 파악되고 있다. 따라서 어느 정도의 입덧은 오히려 좋은 징조로 보기도 한다.

토할 듯한 증상이 생기는 오심(惡心)은 70~85%의 임신부에게 나타나며, 구토까지 있는 경우는 50%에 달한다. 심한 임신오조는 2% 이하로 나타나는데, 하루 내내 구토하고 식사 섭취도 곤란하며, 체중이 5% 이상 감소하고, 탈수와 케톤뇨(ketouria) 또는 담백뇨 등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인 입덧은 임신 6주에서 8주경에 나타나며 11~13주에 절정을 이루게 된다. 그 이후로 점차 사라지며 절반은 14 주차부터 사라지며 대부분은 20주 이전에 없어진다. 그러나 예민하고 심한 경우 임신 4 주차부터 나타나며, 10% 이하의 임신부는 임신 20~22주가 지나도 임신오조를 호소할 뿐만 아니라 출산 직전까지 고생하는 사례도 있다.

임신오조로 오심과 구토가 지속되면 체액과 위산의 손실로 인한 탈수와 산염기 불균형, 전해질 이상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체중감소와 탈수도 나타날 수 있다. 특히 탈수로 인해 혈색소 농도와 적혈구의 용적률이 증가하며, 심한 경우에 급성 신부전으로 크레아티닌(creatinine)이 증가할 수 있다. 사망까지 이르는 경우는 드물지만 베르니케 뇌증(Wernicke's encephalopathy), 비장파열 등과 같은 심각한 질환도 나타날 수 있으므로 임신오조가 지속될 때 누구나 겪는 증상이라고 소홀하면 문제가 된다.

모성 건강뿐만 아니라 태아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대개 경도-중간 정도의 구토는 큰 영향을 주지 않으나 임신 제1 삼 분기에 질 출혈이 유의하게 증가하며, 간혹 임신 종결로 이어지기도 한다. 가장 흔한 영향은 저체중아 발생과 관련된 것이 유의하게 나타난다. 한방부인과(韓方婦人科)에서 보는 임신부 환자 중 가장 많은 경우가 바로 임신오조를 치료하기 위해서 내원하며, 마찬가지로 임신 중 한약을 복용하는 이유 중에서 높은 비율은 절박유산(切迫流産)과 더불어 임신오조가 차지하고 있다.

보통은 일반병원에서 치료를 받아도 낫지 않아 혹시나 하면서 한의원에 내원하게 되는데, 처음 임신해서 한 달 동안 아무것도 못 먹었다는 환자도 있었고, 지난번 임신기간 내내 물만 먹고 살았다며 이번에도 입덧이 시작하자 무서워서 일찍부터 치료받겠다는 환자도 있었다. 필자가 입덧환자를 치료해보면, 증상의 경중이 중요한 것 같지는 않다. 환약으로 며칠 만에 낫기도 하고 첩약으로 두 달 이상 치료한 사례도 있었다. 대체로 치료가 잘 되어 자신 있게 치료를 시작했는데 부끄럽게도 정말 백약이 무효한 환자도 있었다. 다행히 그 환자는 무사히 출산 전까지 치료에 성공하여 득의만만하던 때라 낭패감이 심했던 기억이 있다.

 

저작권자 © 경남연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