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가리개·속적삼·속저고리 등 속옷 종류도 다양
신분에 따라 왕비예복 적의·세자빈대례복 대삼 등

 

한복의 종류라 하면 몇 가지 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알고 보면 그 종류가 굉장히 많고 한복에 따른 장신구 종류도 꽤 많이 있다. 기본적으로는 상유하고(上儒下袴)이다. 저고리는 한자로 유(儒)라고 한다. 엉덩이를 덮는 길이부터 무릎 아래로 긴 것까지 다양 했으나 조선시대가 되면서 선이 동정이 되고 허리띠가 고름으로 자리 옮김을 하였다. 여자는 속옷을 많이 껴입고 남자는 겉옷을 많이 입었기 때문에 남자의 저고리는 속옷이라는 개념이다. 이 때문에 앞서 말한 듯이 남자는 바지저고리만 입고서는 문밖출입이 안 되고 두루마기를 꼭 입어야 한복을 제대로 갖춰 입는 것이라 했다. 원래 속적삼-속저고리-저고리가 기본 세트로 이 세 가지를 묶어 ‘저고리 한 작’이라고 한다. 이외에 적삼(단삼) 덧저고리, 배냇저고리(아기 옷) 삼(衫)이라고 홑저고리를 뜻 하지만 크게는 옷의 총칭이라 보면 된다.

치마는 한자로 상(裳)과 군(桾)으로 구분한다. 상은 치마폭이 넓고 길이가 길어 화려하고 군은 상에 비해 치마폭이 넓지 않고 길이도 짧아 일상생활에 입기 적합하여 서민들이 많이 입었다.쓰개치마는 양반층 부녀자가 사용했으며 모양은 일반 치마와 같다. 치마 허리를 얼굴 둘레에 감싸고 턱 아래에서 겹쳐 잡을 수 있을 정도의 길이다. 계절에 따라 두 겹으로 만들거나 돔을 넣어서 만들기도 하였다.

바지는 한자로 고(袴)라고 한다. 폭이 넓은 관고와 좁은 세고 등 여러 종류가 있었다. 오늘날 한복 바지 모양은 조선 중기 때 만들어 진 것이라 보면 되고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발목 부분에 대님으로 묶어서 입었지만 최근에는 편의성을 위해 매듭(단추형태)으로 바지를 완성 시킨다. 이 밖에도 등거리 적삼(서민층에서 입은 소매가 짧은 상의), 잠방이(가랑이가 무릎까지 내려오는 짧은 홑고의) 등은 농민들의 작업복이라 생각하면 된다. 겉 옷(외출복)으로는 반비라는, 깃과 소매가 없고 아주 짧은 겉옷이다. 그리고 배자, 옛날엔 얇고 긴 형태가 흔했으나 요즘 들어서는 주로 결혼하는 새 신부 한복 저고리 위에 멋스럽게 입는 조끼이다.

겉에 걸치는 소매가 있는 한복은 모두 포라고 한다. 포는 조선 이전의 겉옷을 흔히 포라고 했는데 두루마기라고도 하지만 품과 소매통이 좁은 두루마기와는 확연히 다른 종류이다.

도포는 선비 상징이자 길게 옆트임이 있는 가장 멋스러운 한복이다. 두루마기는 두루막혀 있다 하여 그리 불려 지게 됐는데 도포가 옷감이 많이 들고 사치스러워서 조선 후기에 파생된 한복이다.

창의는 도포와 두루마기의 중간적 모양의 옷이다. 뒷 중심선 혹은 겨드랑이가 트여 있는 한복인데 소창의, 대창의가 있다. 그리고 철릭, 요선 철릭과 일반 철릭이 있으며, 요선 철릭은 허리에 요선을 둘렀는데 몽골식으로 가운데 줄이 있고 여밈이 깊으며 속고름이 있다.

예복, 관복으로는 종묘와 사직을 모시는 나라의 제사 때 입는 제복(祭服) 관원이 조정에 나갈 때 입는 공복(公服) 이외에도 평상시 집무 때 입던 상복, 입시 때 입던 시복 등이 있다. 여인들의 한복으로는 왕비의 예복이 적의, 왕비와 세자빈의 대례복인 대삼, 왕비가 입었던 예복이자 일상복인 단삼, 일반 여인의 예복이자 승려의 겉옷인 장삼, 공주·옹주들이 입는 예복 원삼이 있다. 원삼은 신분에 따라 황원삼, 홍원삼, 녹원삼이 있고 소례복이자 궁중의 일상복인 당의, 현대의 신부 폐백의상이라 할 수 있는 활옷이 있다.

 

위에 나열한 한복에 갖춰 입어야 할 속옷의 종류도 상의는 가슴가리개, 속적삼, 속저고리가 있고 하의는 단속곳, 속속곳, 다리속곳 등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옷의 종류와 그 모양은 신분에 따라 다르며 색상 등 시대별로 설명하자면 매우 복잡하기까지 하다.

장신구로는 한복을 입었을 때 필수품인 고무신을 비롯하여 여자는 한복치마 허리춤에 다는 노리개부터 머리 장식용인 화관, 족두리, 아얌, 조바위 비녀, 떨잠, 뒤꽂이 등이 있으며 남자는 가느다란 끈에 술이 달려있는 허리띠의 일종인 세조대, 철릭이나 구군복위에 착용한 폭넓은 허리띠 격인 광대 그리고 전대, 옥대, 각대, 서대가 있다.

한복 바느질의 종류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되는데 그 한 가지가 깨끼이고 다른 한 가지가 물겹 바느질이다. 깨끼 바느질은 원단의 시접(안으로 접혀들어 가는 부분)이 아예 없다시피 하여 2~3번 접어서 바느질 되는 부분이 1~1.5mm 정도의 박음질을 통해 안과 밖이 표시가 나지 않게 정교한 바느질로 마무로 된다. 주로 여름용 한복 소재에 적용되며 시간도 많이 소요된다. 여기서 우리가 일반적으로 깨끼한복을 입었다고들 하는데 이 표현이 잘못된 것은 아니지만, 다만 깨끼한복이라고 했을 때 한복의 종류가 아닌 한복 바느질 방법이라는 걸 알아야 한다.

저작권자 © 경남연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