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시청 기자실 개방을 환영하며

그동안 독점적 폐쇄형으로 운영돼왔던 진주시청 기자실이 정도정 기자(브릿지경제 서부경남본부장) 외 그와 뜻을 같이 하는 기자들의 투쟁에 따라 개방형으로 전환됐다는 소식이다. 늦었지만 환영할 일이다.

원래 대한민국 기자실은 1920년대 일본의 ‘기자클럽’에 영향 받아 처음 등장했다. 이후 1963년부터 박정희 정부가 언론 통제를 위해 활용하며 기자실은 공식 취재 제도로 정착했다. 기자실이 독점적, 폐쇄적 성격을 띠게 된 것은 1972년 프레스 카드라는 것이 도입되면서부터인데, 1980년대 언론 통폐합 이후 언론사가 줄면서 기자실은 급기야 특정 언론사들의 특권 공유 장소로 변질되었다.

진주시청 기자실도 다르지 않았다. 특정 12개 언론사 기자들의 좌석이 따로 배정돼 운영되어온 이곳은 타사 기자들의 출입을 관행적으로 배제해왔다. 정보의 독점과 특혜를 둘러싼 담합은 반세기를 묵혀온 대한민국 기자실의 오랜 병폐로, 이번 지방에서의 투쟁은 그 적폐 사슬을 일차적으로 끊었다는 데서 큰 의미를 띤다.

그들의 투쟁 후 진주시청에 출입하는 약 40개 언론사 기자들은 이제 누구나 기자실 내 좌석을 자유롭게 쓸 수 있게 됐다. 특정 언론사들을 위한 지정석 제도가 사라진 것이다. 정 기자에 따르면 상황이 이리 되자 그간 특권을 누려온 12개 언론사들이 일제히 조 시장을 비판하는 논조의 기사를 내보냈고, 뒤로는 기자실 개방은 하되 자신들 구역은 따로 정해달라는 ‘유치한’ 요구를 해왔다고 한다. 참으로 한심한 모습이다. 아무리 특권이 달콤하기로서니 파벌을 비판하고 견제해야할 기자들이 자신들의 파벌만은 지키겠다는 게 어디 할 말인가. 더 황당한 건 자칭 진보언론들조차 자신들의 기득권을 내려놓길 꺼리며 궤변을 늘어놓았다고 하니 기가 막힐 일이다.

스필버그의 영화 <더 포스트>에서 “언론은 통치자가 아닌 국민을 섬겨야 한다”고 했다. 또 미국 제7대 대통령 앤드류 잭슨은 “모든 독점과 배타적인 특권은 대중을 희생하여 허용되고 있다”고 했다. 진주 시민은 진주의 국민이고 대중이다. 그리고 진주시청 출입 기자들에겐 그 시민의 눈, 귀가 되어 정론직필을 해야 할 사명과 의무가 있다. 기자란 부당한 특혜와 불합리한 기득권을 비판하는 직업이다. 그 특혜와 기득권을 자신들이 내려놓지 않겠다는 건 기자임을 포기하겠다는 말과 같다. 진주시청 기자실 개방을 다시 한 번 환영한다.


음식물쓰레기 수거방법 보완책 절실하다

산청군이 관내 곳곳에 있던 음식물 쓰레기통을 철거했다는 소식이다. 이에 따라 주민들이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지 못해 악취, 오물 등으로 불편을 겪고 있다고 한다. 주민들에 따르면 산청군에서 쓰레기 수거차량이 마을을 방문하지만 주 1회밖에 되지 않아 마을에서 나오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엔 역부족이다. 이전에는 음식물 쓰레기통이 관내 곳곳에 있어 불편하더라도 8km 정도 차를 타고 이동해 직접 버릴 수라도 있었지만 지금은 그마저도 불가능해진 것이다. 또한 이 같은 산청군의 정책을 시골주민들은 잘 모르고 있어 갑자기 사라져버린 음식물 쓰레기통을 찾아다니는 등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지 못하고 있는 답답한 상황이다.

음식물 쓰레기통 철거로 주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군에서 이러한 정책을 내놓은 이유는 개별용기를 사용할 경우 음식물 쓰레기통 주변에 방치되는 비닐봉투 및 불법 투기 쓰레기가 사라져 청결한 환경이 조성될 것이라 기대하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현실은 다르다. 환경을 위해 음식물 쓰레기통을 철거했는데 주민들은 배출할 곳이 마땅치 않아 밭에다 쓰레기를 묻는다. 한 주민의 입에서 쓰레기를 묻었단 얘기가 나오니 우후죽순처럼 다른 주민들도 쓰레기를 묻는 등 환경훼손이 더 심각해졌다.

지자체 및 관련기관은 환경개선을 위해 1차원적인 음식물 쓰레기통 철거만 생각할 것이 아니라 음식물쓰레기 배출요령 등을 홍보해 주민피해와 환경훼손을 막아야 할 것이다. 음식물쓰레기 수거방법에 대한 혼선을 하루빨리 정비하길 바란다.

저작권자 © 경남연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