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거리를 많이 만들면 일자리는 많이 생기게 되어있다. 일자리를 많이 만들기 위해서는 일거리부터 많이 만들어야 한다. 일할 곳이 없는데 일자리가 있을 수 있겠는가. 실업자가 많다고 일자리 창출을 말하고 있지만 이 문제는 일할 수 있는 일거리를 만들어주기 전에는 좀처럼 해결되기 힘들 수밖에 없다.

유구한 역사에서 대대손손 농경시대로 이어 오다가 몇십년 전부터 산업화 시대가 펼쳐지면서 세계10대 경제 강국이 되었지만 해마다 실업자는 늘어만 가고 농촌은 공동화 현상으로 일손이 없어 농토가 황폐화 되어가는 기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한때는 새마을 노래 소리와 함께 마을 안길을 닦고 지붕개량을 하며 경지정리를 하여 농토를 바둑판처럼 만들어 기계화 영농을 할 수 있도록 농촌 근대화를 조성해 놓았지만 지금은 농촌 공동화 현상으로 이마져 무용지물로 치닫고 있다. 그렇게도 화려했든 농촌이 산업화 시대에 휩쓸려 70%가 넘든 농촌인구는 점점 줄어들어 이제는 도시 인구가 70%를 넘어서고 있는 형편에서 실업자로 놀았으면 놀았지 농사일 같은 것은 아예 쳐다보지도 않는 안타까운 현실에 처해 있다.

도농균형 발전이라는 말도 무성했지만 이 말마져 사라진지가 제법 오래 된 것 같다.

중국, 러시아, 일본 틈새 속에 국토의 70%가 산으로 형성되어 있는 지형조건에서 농사를 짓고 공장이나 집을 지어 살 수 있는 가용면적은 30%에 불과한 현실에서 아무리 세계 10대 경제 강국이라 할지라도 먹고 살아야 할 농토만큼은 황폐화 시켜서는 안 되는데 현실적으로 그렇지 못하니 정말 통탄하지 않을 수 없다. 물론 농촌 공동화를 막기 위해 귀농정책을 쓰고 있지만 이러한 정책만으로 농촌 공동화 현상을 막고 도농 균형발전을 이루기는 어렵다고 할 수 밖에 없다.

그렇다면 농촌을 살릴 수 있는 혁신적 정책대안이 마련되지 않으면 안 된다.

그 정책대안의 일환으로 농업도 기업화해야 하며 농촌 면단위로 시범적 영농주식회사를 만들어 고령으로 농사를 지을 수 없는 농가의 농토 소유자를 회사 주주로 참여 시키고 정부에서 정책적으로 적극 지원하여 기계화 기업영농 체제를 완벽하게 갖추 도록하고 국가공기업산하 기업영농주식회사는 농사지을 사원을 채용하여 공장직공에게 급료를 지급하는 것처럼 하면 도시공장 기업체나 농촌영농 기업체나 똑같은 선상에서 일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도시 유휴노동력을 흡수하기가 훨씬 좋을 것이다.

이미 농촌근대화를 위하여 반듯반듯하게 경지정리를 잘해 놓았기 때문에 분야별로 농사지을 회사의 조직 편제를 만들어 기계화 영농을 하면 도시 공장직원들이나 별반 다를 게 없는 직장인이 될 수 있는 것이다.

귀농보다 오히려 영농회사에서 월급 받는 직원으로 근무 하는 게 훨씬 나을지도 모른다. 부부간에 영농회사 직원으로 근무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식들도 농촌의 자연 환경 속에 안정되게 키울 수 있고 그렇게 되면 폐교되어가는 학교도 살릴 수 있고 영농회사에 근무할 전속 아파트도 건립해야 될 것이므로 농촌인구는 자연스럽게 늘어나게 되어 활기찬 생활권이 형성되면서 농촌근대화의 새바람이 일어날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할 것이다.

그러므로 전국 면단위 몇 군데를 시범적으로 선정하여 운영해보면 그 가능성을 충분히 찾을 수 있을 것이며 농촌 빈집을 이들에게 제공하면 도시 주택 란 해소도 가능해 질 수 있다. 내년 예산 중 일자리 창출에 쏟아 부을 몇 십조 원을 농촌 기업 영농주식회사 설립자금에 지원하여 일거리를 만들어 주면 자연스럽게 일자리는 해결 될 것으로 본다.

저작권자 © 경남연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