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예직’ 이사장에 보수지급 정관 개정 강행 땐 ‘폭발할 수도..’

진주남강유등축제 등을 주최·주관하는 (재)진주문화예술재단 신임 이사장에 서영수(65) 현 재단 상임이사가 선출됐다. 진주문화예술재단은 11월 26일 진주시 천전동 재단사무실에서 임시 이사회를 열어 서 상임이사를 신임 이사장으로 선출했다고 밝혔다. 재단 부이사장으로는 정재옥(73) 이사가 선임됐다.

이번 보궐선거는 전임 최용호 이사장과 장일영 부이사장이 임기가 내년 1월 16일까지지만 임기 만료에 앞서 사임의사를 표출하면서 공석이 됐으며 이날 이사회 보궐선거를 통해 이사장과 부이사장을 각각 선출하게 됐다.

이날 앞서 최근 열린 이사회에서는 기존 감사를 맡았던 한영수 목사와 황경규 진주향당 대표를 새로운 이사로, 김대성 전 진주YMCA 이사장과 정우열 문화예술그룹 온터 대표를 새로운 감사로 각각 선임한 바 있다.

재단 이사회 이사 16명 가운데 서 신임 이사장을 비롯해 박만택, 유영희, 황창연, 한상덕, 김장호 이사는 내년 1월 6일 임기가 만료된다. 재단 측은 현 이사 다수의 임기가 끝나기 전 새로운 집행부를 선출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주목할 점은 신임 이사장 선출에 앞서 최용호 현 이사장이 사임의사를 표출하자 서영수 상임이사가 이사장직에 도전한다는 의사를 공개적으로 밝히면서 이사회 내부에서 각종 심각한 내홍이 시작됐다.

신임 서영수 이사장은 지난 1992년 진주문화예술재단의 전신인 개천예술재단 사무국장을 시작으로 첫 인연을 맺었다. 이후 1999년부터 8년간 진주예총 회장과 진주문화예술재단 출범 이후인 2003년도에 재단 기획실장을 역임했다.

지난 2010년 진주시의원 출마를 위해 재단을 잠시 떠났다가 선거패배 후 상임이사직으로 재단에 다시 복귀했다. 이어 서 신임 이사장은 지난 2013년 경상남도문화예술회관 관장 직에 임명됐다. 관장 임기가 끝난 지난 2016년부터 재단 상임이사(상근직)를 다시 맡았다. 자타가 인정하는 진주문화예술재단의 산증인인 셈이다.

하지만 이 같은 행보와 관련해 서 신임 이사장을 둘러싸고 재단의 공익·공공성을 저해한다는 비판이 일기도 했었다. 확인되지 않은 직원채용 과정의 문제와 예산사용의 정당성 여부 등과 관련한 각종 의혹이 불거지기도 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한 인사는 “재단의 공식적 입장은 만장일치 추대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날 오전 일찍 시작한 이사회는 한 시간이 넘게 이어지며 원활한 회의 진행에 진통을 겪었다”며 “사임의사를 밝힌 이사장·부이사장이 새 집행부를 선임하는 이사회를 주재했다. 이럴 경우 이사회의 정상적인 성립 자체에 논란의 여지를 남겨두고 있다. 더군다나 추대방식이다 보니 이사 선정 과정 역시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 무엇보다 공공성과 공익성을 우선으로 해야 할 진주의 대표적인 문화재단이 이사장 선출을 비롯한 조직의 구성부터 그 공정성을 잃다시피 했다”며 앞으로 많은 논란을 예견했다.

진주문화예술재단은 법인 설립 이래 이사장이 무보수 명예직이었다. 하지만 문화예술계 안팎에서는 신임 이사장이 이사의 보수와 관련해 재단 정관을 개정할 것이라는 소문이 벌써부터 나돌고 있다. 나아가 내년 초 개최 예정인 이사회에서 실제로 이사직의 유급화를 내용으로 한 정관 개정이 감행된다면 이날 이사회로 일단 숨고르기에 들어갔던 내홍이 안팎에서 더 크게 불거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일부 이사는 “재단 설립 초기 이사장들은 명예직이었을 뿐 아니라 부족한 법인자본 확충을 위해 개인 재산을 출연하기도 했다. 상근직 신설과 그에 따른 보수지급 등으로 재단기금을 사용하는 것은 많은 논란을 불러올 것이다. 이게 적절한지 심도 있는 고심이 필요하다. 법리적 문제도 있겠지만 예술재단 설립 당시의 순수한 정신을 되새겨 볼 필요가 있다. 물론 이러한 저간의 상황을 고려해 볼 때 유급 이사직 신설을 담은 정관 개정이나 일부 수정은 쉽지 않을 것이다”고 말했다.

진주문화예술재단 이사장 선출은 일단 매듭졌다. 하지만 선거 일정이 잡힌 이후 일각에서 직원 채용 과정에 대한 투명성 문제가 불거지는 등 꼴사나운 추문들이 꼬리를 물었다. 일부 이사와 직원 간의 친인척 관계까지 거론됐다. 아직도 진실여부가 명쾌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언론들이 적시한 내용만 하더라도 공기업과 금융기관 채용비리 못지않은 ‘숨은 이야기’를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내홍과 외부로 흘러나온 의혹을 말끔히 씻고 나아가야할 의무가 신임 이사장에게 주어졌다. 문화 예술의 도시 진주, 그것을 대표하는 진주문화예술재단의 앞날에 서 신임 이사장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무겁게 느껴진다.

기왕에 재단 정관을 수정 또는 개정하려면 이사장 선출 방식부터 바꾸는 게 좋겠다고 제안하는 시민들이 많다. 선거 당시 이사가 아니었던 사람도 이사장이 될 수 있도록 ‘개방형으로 개선하자’는 것이다. 새로 구성될 운영진들은 이러한 시민들의 열망을 귀담아 들을 필요도 있어 보인다.

저작권자 © 경남연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