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미정
서울한영대학교 평생교육원 교수
대한민국한자명인대상 수상

지인의 권유로 시작하게 된 주민 센터가 운영하는 스포츠 프로그램에서 며칠 전에 늘 서먹서먹하게 지내던 회원들의 화합을 위한 특별한 시간을 갖게 되었다.

모처럼 일상에서 벗어나 윷놀이와 제기차기 등 다양한 민속놀이를 통해 서로를 알게 되고 친근감을 느끼게 되는 기회였기 때문에 행복한 시간으로 기억하면서 오랜만에 해보는 윷놀이를 통해서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에 대해 새삼스럽게 다시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다.

他人들의 놀이를 통하여 지인으로 발전하며, 즉, 아직은 조금 낯설기는 하더라도 이해관계라는 새로운 인간관계가 맺어졌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자의든 타의든 우리는 不知不識間에 이해관계와 非利害關係의 영역에서 활동하고 있게 되는데, 전자의 ‘이해관계’는 다른 표현을 빌리자면 일방적 희생 관계라고도 한다. 父母의 자식에 대한 사랑, 兄弟간의 사랑이 이에 속하고, 후자의 ‘비 이해관계’는 친구관계나 길가에서 우연히 마주치는 他人과의 관계처럼 별 문제없이 서로 양보하는 아름다운 인간관계를 맺을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그런데 윷놀이와 같은 놀이라고 할지라도 편을 갈라서 하거나 승패를 가르는 놀이에서는 한쪽이 이기면 다른 한 쪽은 지게 되어 있기 때문에 웃음 속에 감춰진 승부욕이 발동하면서 양보를 하지 않게 된다.

이때 여럿이 편을 갈라서 팀 대 팀으로 놀이를 하느냐, 아니면 1대1로 하느냐의 차이지만 어느 쪽이든 놀이의 규칙을 지키면서 정정당당하게 경쟁하고 결과에 깨끗이 승복할 줄 알아야 하고, 또한 팀 대 팀으로 놀이를 하는 경우에는 같은 팀원들은 팀 전체의 승리를 위해서 서로 양보를 할 줄 알아야 한다는 조건이 추가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놀이의 경쟁 원리를 통해서 우리 아이들에게 상생의 바른 자세를 가르치는 기본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해 본다.

예를 들면 우리나라에는 삼성과 LG 그리고 KT 등 핸드폰 회사가 있는데, 이들이 같은 이용자를 놓고서 서로 쟁탈전을 벌이고 있다는 것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이들은 서로 상대 회사에 대해서 너의 이익이 나의 손해가 된다고 여기기 때문에 어떻게 하면 경쟁에서 이길 수 있는가를 연구하게 된다.

그러나 경쟁관계에 있는 기업들일지라도 윷놀이와 같은 놀이에서처럼 정해진 규칙에 따라서 정정당당하게 경쟁을 할 수 있다면 얼마나 밝은 사회가 될까 잠시 상상해본다.

정글에 사는 동물처럼 싸움만하는 기업문화가 아니라 표준화를 공동으로 한다든지, 인재를 공동으로 기른다든지, 서로 협력을 할 것은 하면서 경쟁하는 그런 사회 말이다.

누가 무엇을 얻으면 반드시 다른 누군가는 손해를 봐야만 하는 제로 섬(zero-sum) 게임의 경우처럼 내가 덕을 보면 네가 손해를 봐야 되는 세상이 아니라, 너와 내가 다 같이 덕을 보는 요즘말로 win-win이라고 부르는 상생(相生)의 사회가 될 수 있도록 우리 아이들이 나는 이기고 너는 지는 win-lose가 아니라, 나도 이기고 너도 이기는 win-win하는 아름다운 사회를 만들어 갈 수 있도록 전통 놀이를 통해서 세상사는 법을 가르치면 좋겠다는 상상을 하게 되었던 행복한 시간이었다.

※ 제로섬게임[zero-sum game] : 한쪽의 이득과 다른 쪽의 손실을 더하면 제로(0)가 되는 게임을 일컫는 말인데, 한마디로 '너 죽고 나 살자' 이다.

저작권자 © 경남연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