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대학교 명예교수
교육학 박사

수업 현장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는 평가들

 

단위 수업 현장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대표적인 敎育評價는 정치평가(placement evaluation), 형성평가(formative evaluation), 진단평가(diagnostic evaluation), 그리고 총괄평가(summative evaluation)이다. 정치평가는 초·중·고등학교의 1시간 수업 설계에서 학습과제를 배정(配定)하거나 학습조직 속에 학습자를 배치(配置)하는 등 학습코스 설계의 초기에 사용된다. 형성평가는 초등학생 대상 40분 수업이나 중학생 대상 45분 수업 또는 고등학생 대상 50분 수업 중 학습 개념이나 학습내용의 형성(形成)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시로 이루어진다. 진단평가는 학습과제별 학습 곤란이나 오류 등을 진단(診斷) 또는 확인(確認)하는 데 사용된다. 총괄평가는 티칭(teaching) 결과의 상대적 수준이나 순위를 비교하기 위하여 코스 끝에 총괄적 확인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평가 결과들에 대한 다양한 처방들을 논리적으로 잘 연결한 프로그램이 피츠버그대학의 글레이저(Glaser) 팀에 의해 창안된 그 유명한 개별 처방 수업(Individually Prescribed Instruction: IPI) 이다.

定置評價의 실제 예는 학습준비도 검사, 적성 검사, 코스 목표에 관한 사전 검사, 자기 보고 항목 관찰법 등이다. 정치평가의 핵심 기능은 선수 기능의 소유 여부, 코스 목표의 숙달 가능성의 정도 혹은 최상의 학습 양식 소요 여부 등을 판정하는데 그 초점이 맞추어진다.

形成評價의 실제 예는 교사 제작 숙달 검사, 검사 제작사로부터 주문한 검사, 그리고 관찰 등이다. 형성평가의 핵심 기능은 학습 진보 상황의 판정, 학습 강화를 위한 피드백 제공. 그리고 학습오류의 교정 등에 그 초점이 맞추어진다.

診斷評價의 실제 예는 출판된 진단검사, 교사 제작 진단검사, 그리고 관찰 등이다. 진단평가의 핵심 기능은 지속적인 학습 곤란의 원인들 중 지적 원인이나 신체적 원인, 정서적 원인이나 환경적 원인의 판정 등에 그 초점이 맞추어진다.

總括評價의 실제 예는 교사 제작 조사지, 성적 평정 산출 척도 등이다. 총괄평가의 핵심 기능은 점수를 부과하거나 혹은 목표 달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코스 종료 시점의 성취 판정을 하는데 그 초점이 맞추어진다.

이상과 같은 형태의 교실 평가는 사용되는 평가 문항의 표본 선정과 문항들의 곤란도 또는 쉬움의 정도가 결정되는 과정에서 각각 다른 사항들이 요구된다. 특히, 교실수업 장면에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문항 유형인 양자택일 문항, 구성 또는 배합형 문항, 선다형 문항, 그리고 복합 성취 문항 등은 각각 별도의 유의사항들이 요구되고 있다.

진위(T/F) 형이나 예/아니요(Y/N, O/X) 형 등과 같은 양자택일 문항의 경우는 모호하지 않게 출제해야 하고, 특별한 단서 배제하기 등에 노력해야 한다. 배합형 문항의 경우는 구나 단어, 숫자, 기호 등으로 이루어지는 병치 종란으로 구성하기, 동질성 자료는 동일 칼럼에 배치하기, 무 관련 단서는 배제하기, 내용은 논리적으로 배열하기 등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질문과 선택지로 구성되는 선다형의 경우는 핵심 내용을 잘 정리하여 평가문항으로 공식화하기, 하나의 정답 또는 최적의 정답을 준비하기, 그럴듯한 교란지(攪亂肢) 설정하기, 그리고 무 관련 단서는 제거하기 등에 각각 노력해야 한다. 복합 성취 문항의 경우는 적절한 안내 자료의 선택, 측정될 결과를 고려한 작성 자료의 수정, 바람직한 학습행동을 유발할 수 있는 일련의 의도적 작성 등을 포함시키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해야 한다는 것이다.

저작권자 © 경남연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