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의 모순을 아파하고, 맞서는 이들의 삶은 경외감을 준다. 그 투쟁이 과격하고 때론 법의 경계를 넘어설지라도 따뜻한 시선만큼은 거두기 힘들다. 불면의 밤을 지새운 끝에 내린 고뇌의 선택일 것이라는 믿음이 있어서일 것이다.

한국의 노동운동을 보는 우리 시선이 그랬다. 기폭제가 된 전태일의 분신은 우리 사회의 모순에 상처 입은 스물두 살 청년 노동자의 몸부림이었다. 16세에 봉제공장 ‘보조수’로 시작한 전태일은 3년 만에 재단사가 될 정도로 전도유망했다. 월급도 10배나 치솟아 일신의 여유를 누릴 수 있었다. 하지만 그는 매일 악전고투하는 ‘보조수’들의 열악한 노동 현실에 눈감지 않았다. “내 죽음을 헛되이 하지 말라”던 39년 전 평화시장 뒷골목의 외침은 거대한 사회적 각성을 불렀고, 오늘날 우리는 ‘살만한 대한민국’을 성취해냈다.

지난주 ‘4월 총력투쟁’을 결의한 민주노총은 ‘전태일의 후예’를 자처했다. 작년 초 취임한 김명환 위원장의 첫 일정도 전태일 열사 묘역 참배였다. 하지만 민주노총의 요즘 행보는 시대적 소명은커녕 오직 조직의 보위와 이익에 휘둘리는 모습이 역력하다. 100만 조합원 중 수십만 명이 ‘억대 연봉자’로 분류될 정도인데도 “더 받아야 겠다”며 광장과 거리를 밥 먹듯 점령하고 있다. 자신들의 요구가 관철되면 하청·비정규직 노동자들이 급여 삭감과 대량 해고에 몰릴 개연성이 높다는 점은 안중에도 없는 비정함과 많은 중소·벤처·지역 노동자가 원하는 ‘탄력근로 확대’ ‘최저임금 속도 조절’ ‘광주형 일자리’를 총파업으로 저지하겠다는 독선은 ‘노동의 적’이 누구인지 되묻게 하고 있다.

투쟁 방식은 야만이라는 단어를 연상시킨다. 사장실 문을 부수고 난입해 모욕적 언행과 폭력을 퍼붓는 식은 조직폭력배의 그것과 별반 차이가 없다. 지방자치단체장 집무실을 점거해 떼쓰고, 국회 습격도 빈번하다. 경찰에 대한 물리력 행사가 일상이 됐고, 최고 법 집행기관인 대검찰청까지 쳐들어가 법치를 위협한다. “조합원들에게 공사를 몰아 달라”며 건설 현장을 봉쇄하고 비노조·외국인 근로자의 차별을 강요하는 행태는 ‘노동 존중’이라는 구호를 스스로 희화화시켰다. 이쯤 되면 국회환경노동위원회 김학용 위원장 말같이 “괴물의 탄생”이라는 말이 결코 과장이 아닐 듯 싶다.

국민연금 등 웬만한 국가 기구에 다 관여할 만큼 민주노총은 핵심 권력이 됐지만, 걸맞은 책임감은 찾아보기 힘들다. ‘노·사·정 대화’ 참여는 20년째 거부 중이다. 올해 네 차례의 총파업을 예고하며 주먹부터 내미는 등 일방통행은 갈수록 강화되고 있다. 민주노총 출신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마저 “대화 해서 뭐가 되는 곳이 아니다”며 혀를 내두르는 지경이다.

무엇보다도 민주노총에 큰 애정을 가진 선배 운동가들의 배신감 토로에서 민낯이 확인된다. 전태일의 죽음을 세상에 알린 장기표 신문명정책연구원 대표는 “망국 10적 중 제1호가 민주노총”이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양극화와 청년실업의 주범”이라고도 했다. 엄혹했던 시절 ‘노동운동 대부’였던 김문수 전 경기지사는 “초법적 혁명집단으로 변질됐다”고 단언했다. ‘문전투’로 불린 문성현 경제사회노동위원장도 40년 노동운동에 헌신한 결과가 기득권 노조의 배불리기로 귀착되느냐며 자괴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민노총은 전체 노동자를 위해 악역을 맡고 있다하지만, 그 말은 약발이 다 되 가고 있다. 특혜 집단의 알박기이자, 불로소득을 탐하는 지대추구라는 의구심만 커갈 뿐이다. 막가는 총파업으로 ‘5% 귀족노조’의 철밥통을 키울 요량이라면 ‘인간 존엄’을 외친 전태일을 말할 자격이 없다고 한국경제 백광엽 논설위원이 말한 것처럼 진주시내버스 최대 업체인 삼성교통의 민주노총이 파업 투쟁하는 모습을 보고 진주시민은 어떤 생각을 할지 많은 상념에 빠지지 않을 수 없을 것이며, 이번에 새로 생긴 삼성교통 우리노동조합에 대한 기대감과 함께 진정한 노조활동이 무엇인가에 대해서도 시민적 관심도가 높아질 수밖에 없을 것 같다.

저작권자 © 경남연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