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 멸종됐던 따오기를 5월 22일 자연에서 볼 수 있게 되었다. 창녕 우포 따오기복원센터는 역사적인 자연 방사를 앞둔 따오기 40마리에게 ‘울음소리 적응훈련’을 하고 있다.

야생 활동의 기본인 비행훈련과 대인·대물 적응훈련을 방사장 안에서 하였고, 먹이 섭취 훈련을 하지만 울음소리 적응훈련은 좀 특별히 하고 있으며, 앞서 자연방사를 한 중국·일본에선 시도하지 않은 부분이기도 하다.

이 훈련은 다른 동물들이 종 치는 소리가 난 후 먹이를 먹는 훈련을 하듯 야생상황을 조성해 놓은 특정 서석지에서 특정 시각에 울음소리가 나면 그리로 몰려가도록 훈련했다.

방사 초기에는 거기에 가면 따오기 먹이인 미꾸라지를 먹을 수 있도록 해주고, 점차 그 먹이를 스스로 구하도록 유도할 것이다.

복원센터 측은 이 훈련이 야생 방사된 따오기 생존율을 높이는 중요한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2008년부터 최근까지 19차례 방사를 했고 초기 3년간 생존율이 40% 수준이었다.

복원센터 측은 최소 30% 이상은 생존할 수 있을 것으로 일단 목표를 낮춰 잡았으나 일본이나 중국과 비교하면 우포 따오기 여건은 좋은 편이라는 평가를 하고 있다.

특수훈련에다 중국·일본엔 없는 대규모 자연 생태 늪인 우포늪이 있다는 것이 좋은 여건이다.

우포늪은 각종 물고기와 벌레, 고동을 비롯해 먹잇감이 풍부하며 물 주변에 쉴 수 있는 공간이 많고 그늘과 몸을 숨길 공간을 제공해줄 나무도 많다.

조건은 좋아도 실제 방사 후 어떻게 될지 알 수 없어 복원센터는 일단 방사 후 생존 목표를 낮춰 잡는 등 조심스러운 상황이다.

복원센터는 방사될 따오기 등에 위치추적기(GPS)를 달고, 발목엔 가락지를 채웠다. 이를 실시간 컴퓨터와 연결해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모니터링에는 따오기 연구자 10명, 자원봉사자 30명, 서포터즈 40명 등 모두 80명이 동원되었다.

방사된 따오기들이 방대한 규모인 우포늪 어디에서 뭘 하는지, 인공적으로 조성한 서식지 어느 곳에 몇 마리가 있는지, 다치거나 굶고 있는 것은 아닌지 관찰한다.

병에 걸리거나 다치면 진주와 울산, 부산에 있는 야생동물치료센터는 물론 조류 치료 경험이 있는 동물병원에도 보낸다는 계획이다.

치료와 관찰 등을 위해 낙동강환경청과 환경단체, 동물보호협회와 네트워크를 형성해 야생에 원활하게 정착할 때까지는 비상 관리 상태가 한동안 계속한다.

연말 창녕군 장마면에 천연기념물 구조·치료센터가 들어서면 따오기 등 천연기념물 관리는 훨씬 수월해질 것으로 보인다.

김신우 기자

저작권자 © 경남연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