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술위원 김형택
전 진주시총무부장
전 진주시의회의원

우리가 살아가면서 눈병이라도 나서 나의 한쪽 눈을 가리고 살다보면 세상사는 맛이 어떨까?

미국의 해군장교 제임스 홀먼은 24세 때 실명을 했지만 그 후 40년간 세계 각국을 여행하며 여행에 관한 책을 여러권 저술했는데 눈알이 중요한 게 아니라 듣고, 생각하고, 만져보고, 냄새를 맡아 본 모든 것을 마음에 담았다가 세심하게 기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1959년 뉴욕의 한 고층 빌딩에 전기고장이 났을 때였다. 칠흑 같은 어둠의 엘리베이터도 움직이지 않아 많은 사람들이 우왕좌왕 좌충우돌하는 가운데 침착한 인도자 몇 사람이 나타나 대피시켰는데 그 사람들은 눈이 보이지 않는 사람들이다.

그러나 아예 보지 못하면 얼마나 불편한지는 굳이 설명할 필요도 없다. 그러나 한족 눈으로만 살아도 불편 모르고 사는 방법을 터득하면, 눈의 세상이 진실인줄 믿게 되는게 우리의 인생사이다.

그래서 멀쩡히 눈이 두 개인 사람이 눈이 하나밖에 없는 사람들의 세상에 가면 불구자 취급을 받기도 할 것이다. 엄연히 백조이면서도 “미운오리새끼” 취급을 받기도 하는 것이다. 그리스신화에 한쪽 눈의 괴물이 나옵니다.

키클로스페스라는 신(神)입니다. 화산의 신 또는 쇠를 다루는 기술을 인간에게 가르치는 신입니다. 그래서 괴테의 고학자의 눈을 키클로스페스에 비유하여 힘은 세지만 근시안적일 수 있음을 경고한바 있습니다.

이에 비하여 로마신화에 나오는 야누스라는 신은 앞뒤에 얼굴과 눈이 있어서 앞뒤를 볼 수 있습니다. “과거와 미래를 볼줄 아는 지혜”를 상징합니다.

아프리카에 있는 어떤 물고기는 눈이 아래위에 한 쌍씩 있어서 아래위를 동시에 볼 수 있다고 합니다. 한쪽 눈의 괴물보다 얼마나 시야가 넓은지 상상이 갑니다. 물론 눈이 많다거나 시야가 넓다고 해서 좋은 것만 본다고 단정 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성서(聖書)에는 :눈이 죄를 짓게 하거든 빼어 던져 버려라“ 합니다. 눈은 우리가 자각하는 것의 70% 정도를 받아드리는 습성이 있습니다. 어떤 사람은 아집과 편견으로 시야를 일부러 좁게 한 채 의기양양합니다. 달레스는 별을 관찰하며 걷다가 웅덩이에 빠졌고, 어떤 사람은 땅 밑만 보고 걷다가 나뭇가지에 머리를 다치기도 합니다.

”안광(眼光)이 철(澈)한다“는 말도 있듯이 시력도 중요합니다. 눈이 나쁜 줄 모르고 살던 사람이 안경을 쓴 후 옥상의 네온사인이 그처럼 휘황찬란한 줄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했다고 합니다.

겉모양은 눈의 형태를 하고 있지만 보지도 못하는 눈도 있습니다. “청맹(靑盲)과시”라고 부르는 눈입니다. ‘눈 뜬 장님’이라는 말입니다.

사실 우리의 눈도 어떤 때는 청맹과 시인 때가 있습니다.

관심 밖의 물건이나 초점을 맞출 수 없는 거리의 물건을 보지 못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앙드레 지드는 중요성은 그대의 시선 속에 있다.

사물 속에 있는 것은 아니라고 했습니다. 장자(葬子)의 우화를 굳이 들추지 않더라도 우리는 ‘우물 안 개구리’처럼 작고 둥근 하늘만 보고 살아온 것은 아닐까요?

우물의 깊이가 깊을수록 대통으로 내다보듯 하늘의 크기는 더욱 작게 보일테니 그런 통탄할 일이 어디 있을까요? 눈을 뜨고도 제대로 보지 못하는 사람에 비하면 아예 눈이 보이지 않으면서도 눈을 뜨고도 제대로 보지 못하는 사람에 비하면 아예 눈이 보이지 않으면서도 “눈을 감아라, 그러면 보일 것이라” 는 버틀러의 말처럼 호머나 밀턴이나 헬렌캘리, 제임스홀먼은 얼마나 많은 것을 보았던 것인가요? 보는 일은 눈앞에만 맡기고 시야도 마음도 열지 않은 사람, 눈은 멀쩡히 뜨고도 “맹한” 사람이 된 일은 없었을까요. 우리는? 글자를 읽지 못하는 사람을 우리는 까막눈이라고 부릅니다.

까막눈으로 살다가 할머니가 되어서 글을 깨우신 수기가 있었습니다. “버스 노선을 몰라 엉뚱한 곳으로 간지가 몇 번이며, 물건을 사고도 계산을 못해 당황한지가 몇 번이며, 또 다른 문맹자가 와서 편지를 읽어달라고 해서 한편 반가우면서도 당혹스러워 한지가 몇 번이며, 주소도 번지도 못 읽어 찾아간 집 근처에서 헤맨지가 몇 번이며, 눈에 보이지 않는 분들의 고충을 생각하면 글자에 관한 한 청맹과시로 살아야 했던 그 분들의 심정이 얼마나 답답했을지 상상이 됩니다. 컴맹은 컴퓨터의 까막눈이라는 말입니다.

어떤 분야 또는 어떤 부문에 대해서 모른다면 그 분야 그 부문에 대해서 까막눈이 되는 것입니다. 컴맹이나 음치는 자기의 부족함을 압니다.

그런데 까막눈이면서 까막눈인 줄 모르고 우쭐대는 일도 있었으니 눈이 보배라는 것을 새삼 느끼게 합니다.

저작권자 © 경남연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