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찬기오

학생 생활지도(guidance)는 원래 직업지도에서 시작되었으나, 점차 그 활동영역이 확대되어 교육활동의 중요한 내용이 되었다. 오늘날의 생활지도는 교육의 전 영역에 걸쳐 광범위하게 활동 내용이 확대되고 그 방법 또한 다양화되었다. 이와 같은 생활지도 활동의 분류는 사실상 확실한 구획을 지우기 힘들며 일정 기준 하에서 분류된 각종 생활지도 활동들도 실제 활동 내용에 있어서는 복합된 형태로 나타날 때가 많다.

생활지도의 전체적인 윤곽을 이해하기 위하여 문제의 성질, 활동방법 등에 따라서 문제 분야를 구분하여 보면 첫째로, 생활지도는 학생들의 특정 행동 측면의 성장과 발달을 돕기 위한 활동이며, 어떤 활동을 수정할 것인가, 어떠한 내용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현명한 자기 결정과 적응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할 것인가 등과 같은 과제들의 성질에 따라서 ①교육적 안내(educational guidance), ②인성 교육(personal guidance), ③직업 안내(vocational guidance), ④사회성 지도(social guidance), ⑤건강 지도(health guidance), ⑥여가 지도(leasure guidance), ⑦가정문제 지도(family guidance), ⑧종교 지도(religious guidance), ⑨도덕성 지도(moral guidance)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교육적 안내의 경우는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모든 교과교육 영역에 그 초점이 맞추어진다고 할 수 있다. 인성교육의 경우는 가정교육 장면과 학교교육 장면 등에 초점이 맞추어진다. 직업안내의 경우는 직업정보의 제공이나 안내 등에, 사회성 지도의 경우는 가족관계나 교우관계의 형성 등에 초점이 맞추어진다. 건강지도의 경우는 건강생활과 그 관리 등에, 여가지도의 경우는 적성 개발 및 여가 선용 등에 그 초점이 맞추어진다. 가정문제지도의 경우는 가족관계나 대인관계 등에 초점이 맞추어진다. 종교 지도의 경우는 종교의 선택과 신앙생활 등에, 도덕성 지도의 경우는 가정생활 장면과 사회생활 장면 등에 그 초점이 맞추어진다.

둘째로, 생활지도는 지도해야 할 학생들의 문제들에 대한 지도계획과 지도 장면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어떠한 지도 기술을 적용할 것이냐 등에 따라서 활동 방법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생활지도 활동들에 초점을 맞추어보면, 생활지도는 ①학생 이해 활동(student inventory service) → ②정보제공 활동(information service) → ③상담활동(counseling service) → ④정치활동(placement service) → ⑤추후 활동(follow-up service)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활동들 중에서 학생 이해 활동은 생활지도 활동의 기본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좁은 의미로는 학생 조사활동(調査活動)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학생 이해 활동은 생활지도 활동의 기초 조사 활동이며, 학교 생활지도 활동에 필요한 기술이나 기법을 습득하기 이전에 학생을 올바르게, 그리고 깊이 있게 이해하려는 자세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학생 이해 활동에 사용되는 주요 기법들로는 관찰 대상을 주의 깊게 보면서 이해하는 관찰(observation)법, 작성과정과 분석과정이 간편한 질문지(questionnaire)법, 몇 단계의 척도에 따라 행동을 평정하는 평정법(rating scales or rating method), 서로의 생각과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면접(interview)법, 수용성 검사 또는 교우관계 조사법으로 알려져 있는 사회성 측정(sociometry, socio metric devices), 그리고 심리검사(psychological testing), 사례연구(case study), 자서전법(autobiographical method), 누가기록(cumulative records)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렇게 수집되어 분석된 자료들은 생활지도의 핵심(상담) 활동의 기본 자료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저작권자 © 경남연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