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남-죽은 사람의 넋을 극락으로 인도하는 굿]

논개는 이승에 이름과 죽음밖에 남긴 것이 없지만, 진주 사람들은 논개를 죽음으로만 마냥 묻어두지 않았다. 해마다 6월 29일이면 남강 가에 제단을 차리고 제사를 올리며 새남(죽은 사람의 넋이 극락으로 가도록 하는 굿)을 빌었다(오두인의 『의암기』). 그러면서 틈나는 대로 조정에 논개를 버려두지 말라고 아우성하며 졸라서 마침내 147년 만에 영조 임금으로부터 “사당을 세워 포상하라”는 허락을 받아냈다. 이리하여 논개는 의기(義妓)라는 이름으로 새남을 얻고 사당에 번듯이 자리 잡아 영원히 살아 있다. 기록에 나타나는 새남의 자취를 간추리면 아래와 같다.

(1) 오두인(吳斗寅)[1624~1689]의 『의암기(義巖記)』(1651)

논개가 왜장을 끌어안고 강물로 떨어졌던 그 바위는 논개보다 먼저‘의암(의로운 바위)’이라는 이름으로 새남을 얻었다. 바위 얼굴에 커다랗게 새겨 넣은 ‘의암(義巖)’이라는 두 글자는 오늘도 뚜렷한데, 경상우도 재상간심관(災傷看審官 : 병자호란으로 백성이 입은 재해와 상처를 살피는 관리)으로 진주에 내려왔던 오두인이 『의암기』를 지었으니 글씨는 그보다 앞서 새긴 것이다. 그런데 근래 진주에서 펴낸 『진양속지(晋陽續誌)』(1932)에는 임진왜란 때 함경도 의병장이었던 정문부(鄭文孚)[1565~1624]의 둘째아들 정대륭(鄭大隆)이 그 글씨를 썼다고 했다. 그것이 사실이라면 바위에 새겨 넣은 글씨는 정대륭 형제가 진주에 옮겨온 1625년에서 오두인이 『의암기』를 쓴 1651년 사이에 쓴 셈이다.

(2) 최진한(崔鎭漢)[1652~1740]의 의암사적비(義巖事蹟碑)(1722)

경상우도 병마절도사 최진한은 논개의 새남에 남달리 애쓴 분이다. 진주 사람들의 진정서를 받아 장계(狀啓)를 올리고, 조정에서 사실을 믿기 어렵다며 외면하자 진주 사람들의 뜻을 모아 의암사적비를 세웠다. 그리고 정식(鄭栻)[1683~1746]이 지은 비문을 붙여서 다시 장계를 올렸다. 그제야 경종 임금은 우부승지 박희진(朴熙晋)을 시켜 “관기 가운데 이처럼 뛰어난 절의가 있었다는 것은 참으로 칭찬할 만하다. 자손을 찾아가서 별도로 부역을 면제시켜 주고 이제까지 하지 못했던 나라의 특별한 은전을 보이도록 하라.”는 교지를 내렸다(1722). 임금의 뜻을 받들어 논개의 자손을 찾아 올리라는 공문을 관내에 띄웠으나 “본디 자손이 없었다.”는 회답을 보내왔을 뿐이었다.

(3) 남덕하(南德夏)[1688~1742]의 의기사(義妓祠)(1740)

최진한의 도움으로 논개는 경종의‘칭찬’을 듣고 “자손에게 나라의 은전을 내리는” 자리까지 살아났다. 그러나 “본디 자손이 없었으니” 논개의 새남을 바라며 130년을 싸워온 진주 사람들에게는 얻은 것이 없었다. 그런데 마침내 병마절도사 남덕하의 계청(啓請)은 영조로부터 “사당을 세워 포상하라.”는 비답을 받았다(1740). 왕의 뜻을 받들어 남덕하는 의기사를 세워 논개의 위패를 모시고, 곁들여 최진한이 세운 의암사적비에다 ‘의기 논개의 문’이라는 비각을 세워서(1741) 새롭게 꾸몄다. 이리하여 순국한 지 꼬박 147년이 되어서 논개는 진주 사람들 눈앞에 새남으로 일어섰고, 해마다 봄과 가을이면 나라에서 바치는 제사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럴 즈음에 박태무(朴泰茂)[1677~1756]는 『의기전(義妓傳)』을 짓고, 진주 사람들은 ‘의기 논개의 문’ 아래 바위 벼랑에 “한 줄기 강물이 한 결 같이 흐르듯이 의롭고 매움도 천주에 영원하다(一帶長江 千秋義烈 )”이라는 글자를 커다랗게 새겨(1766) 논개의 새남을 기렸다.

[출처]한국학중앙연구원-향토문화전자대전

향토사학자 권영철

저작권자 © 경남연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