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교육학 박사 박재성

[번체] 隔岸觀火 (사이뜰 격, 언덕 안, 볼 관, 불 화)

[간체] 隔岸观火 [gé àn guān huǒ] (거 안 꾸안 훠)

▶ 강 건너 불 보듯 하는 계책.

☞ 상대에 내분이 일어나면 관망하라. 적의 내부에 모순이 노출되거나 질서가 혼란해졌을 경우는 조용히 폭거가 일어나기를 기다린다. 적들이 서로 반목하거나 원수가 되어 싸우게 되면, 그 기세는 반드시 멸망으로 치닫게 되는데, 이것은 바로 《주역》 <예괘(豫卦)> 의 원리로서 시기에 순응하여 행동으로 옮기면 원만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 《삼국지 연의》에는 조조가 하북을 평정할 때 두 차례나 격안관화의 계책을 써서 작은 代價로 큰 승리를 얻는 이야기가 나온다.

원소가 창정 대전에서 참패를 당한 후 마음이 우울하여 병들어 죽게 되었다. 죽기 전에 원소는 유자(遺子) 원상을 계승자로 삼고 대사마로 임명하였다. 조조는 이때 투지가 한창 왕성하여 친히 대군을 거느리고 원씨 형제를 토벌하고 일거에 하북을 평정하려고 기도하였다. 조조의 군사는 파죽지세로 여양을 점령한 다음, 곧장 기주성 아래에 이르렀다. 그러자 원상·원담·원희·고간 등 4로 인마가 합력하여 힘껏 사수하였다. 조조는 연이어 몇 차례 공격을 하였으나 함락시키지 못하였다. 이때 모사 곽가가 계책을 드려 말하기를, "원씨가 큰아들을 폐하고 작은아들을 세웠기 때문에 형제간에 권력 싸움이 일어날 것은 불문가지(不問可知)입니다. 그런데 지금 형세가 급하니 서로 구하고 돕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아예 군사를 돌려 남쪽으로 가서 유표를 치며 원씨 형제의 변을 기다리는 것만 못할까 봅니다. 변이 생긴 다음 기주를 친다면 일거에 이길 수 있을 것입니다." 조조는 그의 말대로 가후를 남겨 여양을 지키게 하고 조홍으로 관도를 지키게 한 다음, 자신은 곧 군사를 이끌고 유표를 치러 갔다. 과연 조조가 철수하자 장자 원담이 곧 원상과 계승권을 쟁탈하기 위하여 크게 싸우면서 서로 참살하기 시작하였다. 원담은 원상을 이길 수 없게되자 조조에게 사람을 보내어 구원을 청하였다. 조조는 이 기회를 타서 다시 북진하여 먼저 원담을 죽여 버린 다음, 원희·원상을 차례로 패배시키고 일거에 하북을 점령하였다.

<간체자 핵심>

번체자 觀의 간체자 ‘观’은 又(오른손 우)에 见(볼 견)을 합친 글자로, 오른손[又]을 눈가에 대고 보는[见] 것은 더 자세히 보이기[观] 때문이라는 뜻.

저작권자 © 경남연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