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신웅 교수님
               강신웅 교수님

 

<본 고는 대구자수박물관 정재환관장이 30여 년 전에 백병풍(白屛風)에서 발굴, 소장해온 국내의 희귀 고문헌자료로서, 조선조 인조2년(1624) 일본에 수신사(修信使)의 종사관(從事官)으로 일본에 다녀온 신계영(辛啓榮 1577∼1669)이 그 어떤 정사(正史)에서도 결코 찾아 볼 수 없는 당대의 신빙성 있는 역사고사(歷史故事)를 한자(漢子)원문으로 기록된 고문서를 필자가 직접 국역(國譯)한 자료이다.>

이순신(李舜臣)과 원균(元均)(3)

마침내 그들에게 깃발과 북을 주고 말하기를 “당신들이 줄을 지어 항구 쪽에서 장사진을 치고, 각자의 배에는 깃발을 꽂고, 사람들은 각자 북을 울리면서 싸움을 돕는 것처럼 해 주시오. 그러면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라고 하였다. 즉시 7척의 배에서 크게 소리를 지르며 재빨리 노를 저어 나아가 곧장 적의 배에 충돌을 하였는데 그 배가 가는 것이 나는 듯이 빨랐다. 왜적의 배는 작고 낮은데 우리 배는 높고 커서, 종횡으로 뛰어넘으니 적들은 모두 부서지고 침몰하였다. 우리 배 한 척이 지나가면 부서지고 침몰하는 적의 배가 적어도 수십 척이었다. 곧장 부서진 것은 흔적도 없고, 기울면서 부서진 것은 빈 배만 떠다녔다. 우리 병사들은 승세를 타고 더욱 힘을 주어 노를 저었다. 해가 서쪽으로 지려 할 때 적의 배 중에 남아 있는 것은 4분의 1 밖에 되지 않았다. 적은 배를 거두면서 높이 소리치기를

“종일토록 크게 싸워서 양쪽의 군사가 모두 피곤하니, 일단 싸움을 멈추고 내일을 기다려 다시 승부를 가리는 것이 어떻겠는가?”

라고 하였다. 그러자

“우선은 너희가 바라는 대로 하겠지만, 너희는 이순신 장군이 온 것을 모르느냐?”

라고 하였다. 그들이 대꾸하기를

“우리가 어찌 모르겠느냐. 이 장군이 아니면 이런 싸움을 할 수가 없지.”

라고 하였다. 공은 이 곳에서 진영을 정렬하여 다음날을 기다려 남은 적을 소탕하고, 마침내 7척의 배는 북두칠성의 형태를 만들어 닻을 내렸다. 이날 밤에 안개가 자욱하였다. 아침이 되자 안개가 걷혔는데 적들은 이미 밤에 도망가고 종적이 없었다. 승전고를 크게 울리고 일제히 개선(凱旋)의 노래를 부르며 돌아왔다. 후에 진영의 배 위에 있던 여러 사람들이 일제히 당도하여 늘어서서 절을 하며 말하기를

“장군께서 한바탕 싸워 주지 않았더라면 저희들은 아마도 물고기의 밥이 되었을 것입니다. 나라를 위하여 하례를 할 겨를이 없지만, 저희들을 다시 살게 해 주신 은혜에 감사합니다.”

라고 하였다.

이 이후로 호남 사람들의 마음이 충분히 안정되어 모두 장성(長城)의 왜를 얻었고, 모두가 누울 자리를 정하는 즐거움을 누렸다. 오랑캐 적들이 두려워할 만하다는 것을 모르고, 달아나는 것이 근심할 만하다는 것을 모르며, 은혜를 입고서도 조금도 우리 원님의 은혜라는 것을 모른다고 하였다.

얼마 지나지 않아 명나라 조정에서 수군 10만이 당도하여 정박하였다. 제독 진린(陳璘)도 역시 대단히 뛰어난 사람인데, 공을 만나보고는 매우 흡족해 하였다. 우리나라의 사정과 적의 형세에 대해 모두 널리 토론하고 자세히 이야기하였다. 임기응변 하는 것도 매우 능하였다. 이 때 육로에 있는 여러 왜적, 즉 울산에 있는 가등청정, 사천에 있는 석만자(石曼子), 순천에 있는 소서행장 등이 솥발처럼 세 곳에서 버티고 있었는데, 명나라 장수 마귀(麻貴)와 유정(劉綎)과 동일원(董一元)이 병사를 나누어 대치하면서 해를 넘기고 있었다. 무술년(1598년) 가을에 풍신수길이 병으로 죽자 왜인들은 모두 기운이 빠져 돌아갈 생각을 하였다. 그러나 오히려 우리 병사들이 뒤쫓아 와 습격을 할까 두려워했다.

저작권자 © 경남연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