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설위원 정찬기오
교육학 박사
경상대학교 명예교수

교육부는 최근의 신종 감염병(사스, 신종프루, 메르스, 코로나 19) 등의 발생으로 인한 등교 곤란 상황 대비, 학생 안전 확보, 학교 공간의 재구조화 등을 위한 ‘그린 스마트(green smart) 미래학교 사업’을 발표하였다. ‘그린 스마트 미래학교 사업’은 한국판 뉴딜(new deal) 정책의 대표과제로서 미래의 교육을 견인할 신 성장 동력이 될 것이다.”라는 입장이다. 교육부의 ‘그린 스마트 미래학교 사업계획’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선도할 미래인재 양성과 미래지향적 친환경 스마트 교육여건 구현을 목표로 추진된다고 볼 수 있다.
‘그린 스마트 미래학교 사업’의 4가지 기본원칙은 ① 저탄소 제로에너지(Zero Energy)를 지향하는 그린 학교, ② 미래형 교수-학습이 가능한 첨단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중심의 스마트교실, ③ 학생 중심의 사용자 참여 설계를 통한 학교 공간의 혁신, ④ 지역사회를 연결하는 생활 SOC(사회간접자본)인 학교시설의 복합화이다.

‘그린(green)학교-스마트(smart)교실-학교공간의 혁신-학교시설의 복합화’에 대한 교육부의 의지는 디지털 교육인프라(educational infra) 확충을 통하여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학습경험이 가능한 유비쿼터스(ubiquitous) 환경과, 지속가능성에 기초한 저탄소 친환경 학습 환경을 구현하겠다는 것이다. 또한 2019년부터 중점과제로 추진 중인 ‘학생 중심의 사용자 참여 설계’라는 학교 공간혁신사업의 기본원칙을 이어나가고, 대상학교의 확대 및 질적 고도화를 추구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그린 스마트 미래학교 사업‘의 기획 배경은 전체 학교시설의 약 20%에 해당하는 7,980동이 ‘40년 이상 경과된 노후건물’로서 향후 노후화가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학생들의 안전한 학습 환경 보호를 위해 이 시설들의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라는 것이다.
 
‘그린 스마트 미래학교’ 1단계 사업에서는 2021년부터 5년 간 총 18.5조 원의 사업비를 투입하여 ‘40년 이상 경과된 노후건물’ 중 2,835동을 미래학교로 조성할 계획이다. 그리고 지방재정 부담을 덜어주기 위하여 학교시설의 제로 에너지화(Passive+Active Energy)와 디지털화를 위해 추가되는 전체 사업비의 30%인 5.5조 원을 국비로 지원할 예정이며, 노후시설 증가 추세 및 재정여건 등을 고려하여 2026년부터 2단계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교육부의 ‘그린 스마트 미래학교 사업’에 대한 세간의 부정적인 시각들은 포장만 요란한 학교시설 공사, 40년 이상 경과된 노후 시설의 개선, 임대형 민간투자 사업의 가이드라인 제시, 디지털 환경 구축에 치우친 정책일 뿐이라는 지적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필자는 교육부의 ‘그린 스마트 미래학교 사업’이 ‘코로나 19’로 인한 원격교육과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하여 보다 실속 있는 첨단 에듀-테크(Edu-tech) 활용 교육이 되길 진심으로 기대해본다. 

저작권자 © 경남연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